반응형
우선순위가 높은 하나의 목표로 하루를 시작하면 마법같은 무언가가 일어난다.
- 월요일에는 문제를 정리한 지도를 만든다.
- 화요일에는 각자 하나의 솔루션을 스케치한다.
- 수요일에는 어떤 솔루션이 가장 좋은지 결정한다.
- 목요일에는 프로토타입을 만든다.
- 금요일에는 이를 테스트한다.
- 이렇게 초점을 맞추는 방식은 일을 명확하게 하고 동기를 부여한다.
기기 사용을 금하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.
- 포털, 뉴스, 업무외 휴대폰 사용금지
하이라이트 > 초집중 > 에너지 충전 > 돌아보기 > 하이라이트
- 하이라이트 : 초점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로하루를 시작하라.
- 초집중 : 방해꾼을 물리쳐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시간을 만들어라.
- 에너지충전 : 뇌를 충전하기 위해 몸을 돌보아라.
- 운동, 음식, 잠, 조용한 휴식, 직접 사람을 만나 대화하며 배터리를 충전
- 돌아보기 : 시스템을 조절하고 개선하라.
- 잠자리에 들기 전에 몇 가지를 기록하라.
메이크 타임에서는 완벽이라는 개념을 잊길 바란다. 메이크 타임을 완벽하게 하려고 시도하지 마라. 세상에 그런건 없다!
메이크 타임의 목표는 수도승이 되겠다는 맹세가 아니라 실행할 수 있고 융통성 있는 일련의 습관이다.
하이라이트
- 과제들과 목표 사이에 존재한다. 과제수행은 너무 기계적이고, 목표는 너무 먼 얘기다.
- 하루가 끝날 무렵 "오늘의 하이라이트는 뭐였나요?" 라고 물어오면 뭐라고 대답하고 싶은가? 하루를 돌아봤을 때 어떤 활동이나 성취나 순간을 음미하고 싶은가? 그것이 바로 당신의 하이라이트다.
- 하이라이트 선택기준
- 긴급성 - 오늘 해야 하는 가장 긴급한 일은 무엇인가?
- 만족 - 오늘 하루가 끝날 무렵 가장 큰 만족을 안겨줄 하이라이트는 무엇일까? 기한과 우선순위보다 각 하이라이트 후보가 얼마나 성취감을 주는지 고려한다.
- 즐거움 - 오늘을 되돌아봤을 때 가장 즐거움을 느낄 일은 뭘까? 메이크타임에서 우리의 목표는, 당신이 완벽하게 계획된 하루라는 불가능한 환상에서 벗어나 더 즐겁고 덜 대응하는 삶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.
- 즉 그저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. 시간 낭비는 당신이 의도하지 않은 시간을 쓸 때만 해당한다.
- 시간이 60~90분 걸리는 하이라이트를 선택하라.
반응형
'잡동사니 > 책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(독해력 테스트) (0) | 2020.08.04 |
---|---|
베조스레터 (0) | 2020.06.07 |
시간도둑에 당하지 않는 기술 (0) | 2020.06.04 |
울트라 러닝 (0) | 2020.05.28 |
사피엔스 리뷰 (0) | 2016.10.16 |